2020년 4월 6일 냉동 2차 5일 배양 최상급 배아를 이식했다.
이식일로부터 14일째 오랜만에 글을 쓴다.
사실 시험관의 과정을 블로그에 남겨두고 싶어 난임일기라는 폴더를 만들고 글을 쓰기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자신이 없어졌다.
종종 보이는 10차 이상의 고차수 다른 블로그의 시험관 과정 글을 보면서 나도 고차수 까지 갈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혹시 착상에 성공하더라도 그 후 넘어야할 수많은 과정들.....혹시나 중간에 잘못 되었을 때 나는 그 과정을 오롯히 블로그에 기록
할 자신이 있을까? 라고 생각해봤는데 못할 거 같았다.
아마 지금 이 글도 내가 출산을 하고 나서야 공개로 전환되겠지?
냉동 2차, 이식 횟수로만 따지만 3번째 이식에 처음으로 두줄을 보았다.
시험관 1차는 로또라고는 하지만 확률상을 로또보다는 높고, 오픈 채팅방에서 알게된 (본인은 고차수지만) 동생이 주위에
보니 될만한 사람들은 3,4차 안에 다 되더라고 5차 이상 넘어가면 헬게이트 열리는 거라고 했을때
"그래 나는 3차 안에는 될꺼야" 라고 생각했는데 냉동 1차 5일 배양 상급 배아까지 착상 시도조차 하지 않은 0.1의 수치로 끝났
을 때부터는 덜컥 걱정이 되기 시작했다.
'5일 배양 상급인데 착상시도도 못하다니'
'3일 배양 중하급도 착상 잘되는 사람은 잘되던데'
'먼가 나에게 문제가 있는게 아닐까?'
가장 큰 걱정은 시험관을 하게된 이유 '난소기능저하'에 엎쳐서 '반복착상실패'가 또다른 문제로 다가왔다.
선홍길 선생님께서는 '반복착상실패'는 좋은 배아를 3개 이상 이식했을 때 착상에 문제가 있으면 반착검사를 해봐야 한다고 하셨
지만 난소기능저하인 나에게는 시간이 없었다. 나에게 5일 배아는 이번 2차 과배란 4개가 마지막일지도 모르고 앞으로 5일 배양
배아가 나와줄지 알수도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우겨서 반복착상검사를 하기로 했다.
선홍길 선생님께서도 1차 신선이식은 본인이 생각해도 아니었고, 이전 이식은 5일 배아 상급이었지만 착상 수치가 안나와서
아직 3번은 아니지만 검사를 해보자고 하셨다.
결과는 두둥~ 엽산대사이상 CT형이었다. 그나마 TT형이 아니라 다행인가?
엽산 2천을 복용하라고 하셨는데 다행히도 두번째 실패 이후 고용량 엽산 5천을 복용하고 있었다.
반착검사를 하기전에는 혹시나 문제가 없는데 엽산 5천 복용량이 너무 많지는 않을까? 해서 격일로 한알씩 먹었는데 CT형인 것
을 알게 되고 마음놓고 하루에 한알씩 복용했다.
엽산은 과잉복용해도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소변으로 배출된다고 한다.
시험관은 사실 다 만들어놓은 수정란이 자궁에서 착상을 하면 성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착상은 신의 영역이라고 불릴만큼 사람
의 힘으로 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다. 두번째 이식에서 만들어진 배아를 보며 "수정까지 미세수정으로 다 해서 5일 까지 키워
줬으니 착상은 하겠지?" 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착상이 안되니 비타민E와 생들기름을 먹기 시작했다.
비타민E 는 옛날에 엄마가 임신 안되던 사람이 비타민E를 먹고 나서 임신하더라는 말을 했던게 생각이 나서 먹기 시작했다.
나중에 찾아보니 비타민E의 어원은 '임신하게 하는' 이라는 뜻이 있었다.
단순히 내 뇌피셜로 자연임신이 안되던 사람들이 비타민E 를 먹고 된거면 배란이나 수정 문제는 없었고 착상의 문제였을거고
비타민E가 도움을 줬을꺼야~ 라고 생각하고 열심히 먹었다.
나중에 알게된 사실이지만 연구결과에서 비타민 E가 부족하면 초기 유산이 될 수 있다고 한다.
관련 기사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475818
생들기름은 까페에서 '반복착상실패'를 경험하셨던 분 중 한명이 11차인가? 12차에 성공해서 만출했는데 그전과 다른게 생들기
름을 복용했다고 해서 먹었다. 생들기름이 착상에 영향을 주는지 모르겠지만 착상에 좋은 음식에 들깨가루도 있고 생들기름 역
시 착상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다고 해서 자기전에 반숟가락 정도 먹었다.
2020년 2월 10일 냉동 1차 - 5일 배양 상급 냉동 눈사람 배아
투명대를 벗어나서 감자배아가 되려 하고 있다.
이식하는 날 배아 상태가 좋다고 하셨지만 실패로 끝난 두번째 이식......
'난임&임신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험관 아기, 임신 12주 니프티 검사(다운증후군, 에드워드 증후군,파타우 증후군), 목투명대 (0) | 2020.09.25 |
---|---|
시험관 아기/ 임신 7~8주 증상,초음파 태아크기 2.08cm/ 입덧 시작 (0) | 2020.09.25 |
난소기능저하 착상탕 (1) | 2020.01.20 |
난자질 개선 식단-3일 배양 최하급에서 5일 배양 최상급으로!! (0) | 2020.01.13 |
난자질 개선 영양제(닥터 퍼틸리티 우먼, 이노시톨, 유비퀴놀, DHEA, L아르기닌) (0) | 2019.12.30 |